스터디/UNIX 6

GIT

1. 버전관리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버전관리 중요 (파일의 변경이력 관리) - 특정 시점의 파일내용을 확인하거나 파일 상태를 되돌리고, 누가 어떤 부분을 수정하였는지 확인가능 (1) 버전관리 소프트웨어 중앙집중형 : CVS (Concurrent Versions System), SVN(Subversion) 분산형 : 머큐리얼 (Mercurial), 바자(Bazaar), 깃(Git) (2) 분산형 버전관리시스템 서버에 존재하는 원격저장소(서버) + 개발자 컴퓨터에 저장되는 지역 저장소(클라이언트) 지역저장소도 완전한 버전관리기능, 중앙서버에 있는 소스복사로 지역복사본 만들어 작업 단, 저장소간의 파일 동기화 필요할수 있음 중앙서버에 문제가 있어도 지역 컴퓨터에 있는 소스로 복구, 여러명이 동시작업 병렬..

스터디/UNIX 2023.11.16

셸 스크립트

1. 셸이란 ▷ 명령어 해석기 사용자에 인터페이스 제공, 명령어에 상응하는 프로그램 실행 및 스크린 출력 ▷ 스크립트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 함수, 변수등의 프로그래밍 요소를 사용할 수 있음 반복문, 조건문등의 제어구조를 사용할 수 있음 셸 스크립트 프로그램에 있는 명령행을 제어구조에 따라 해석하고 실행 파일(셀 스크립트)에 명령을 저장하여 자동, 반복 실행가능 (배치파일 형태) (1) 셸의 종류 Bash셸(리눅스 배포판의 기본셸), Csh/Tcsh셸, Ksh셸, Zsh셸, Fish셸 텍스트 모드 또는 GUI(gnome 데스크탑)환경에서 터미널을 띄우고 셸 명령을 실행 (2) 셸스크립트 셸 명령어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텍스트 파일) 셸이 스크립트 파일의 내용을 읽어 처리함 선택/반복등..

스터디/UNIX 2023.11.14

소프트웨어 관리

소프트웨어 패키지관리 소프트웨어 설치, 업데이트 및 삭제하는 등의 관리작업 패키지 관리도구를 사용 리눅스 초기에는 소스프로그램으로 적당한 디렉토리 구조를 만들고, 컴파일하고 링크하여 환경설정 컴파일 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패키지를 다루고, 관리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 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패키징방법이 다름 표준방법이 필요하며, 데비안 계열은 DEB(.deb), 레드햇 계열은 RPM(.rpm)방법 도구사용 혹은 '패키지 파일'(패키지 구성 파일을 묶어 압축한것)을 다운받아 설치사용 패키지 파일과 저장소 관리의 기본단위 : 패키지 파일 바이너리 프로그램, 설정파일, 패키지의 메타데이터, 설치스크립트 등으로 구성됨 메타데이터 (패키지 정보) - 패키지 이름, 릴리스, 아키텍쳐, 요약과 설명, 저작자, 라이선..

스터디/UNIX 2023.11.13

Linux 관리자

파일 시스템 1. 마운트와 언마운트 마운트 : 파일 시스템을 특정 디렉터리에 연결 (저장 장치내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이 구성) 마운트 지점 (마운트 되는 위, 리눅스는 1개의 트리) (1) /etc/fstab파일 (file system table) 파일시스템의 목록을 가진 설정파일 (리눅스 시스템이 부팅될때 자동으로 마운트됨) 라인별로 개별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정보가 기록되어 있음 UUID 파일 시스템을 유일하게 구분하는 숫자 (32자리 16진수) - 블록 디바이스 정보를 보여주는 blkid 혹은 lsblk-f 명령으로 확인가능 마운트 혹은 언마운트 - /etc/mtab파일에 기록 ( mount명령 실행시 현재 마운트된 fs을 보여줌) - 기본 마운트 옵션(default)은 rw(읽고 쓸수 있게), s..

스터디/UNIX 2023.10.10

Linux 구동 및 사용자관리

리눅스의 부팅 및 기본설정 1. 운영체제 부팅 부팅 : 시스템 초기화 과정 ( 로그인 프롬프트가 출력될때까지 과정 )이며, 부트로더가 운영체제 커널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커널이 부팅을 시작함 ( BIOS기반 x86수행을 가정 ) 1) ROM BIOS 펌웨어 실행 - 하드웨어 검사 후 부트로더 적재 2) MBR의 부트로더 실행 파티션 테이블 조사 후 부팅가능한 파티션 검색 부트로더인 GRUB를 적재 GRUB이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멀티부팅을 지원 3) 커널 이미지 (/boot/vmlinuz-)로드 initramsfs 로드( 임시파일시스템, Root fs 마운트, 사용자 시스템 인식) 4) 커널 실행 (제어를 커널로 넘김) 5) 하드웨어 점검/초기화 (메모리, 프로세서, 저장장치, 주변장치, 디바이스 검색&드라..

스터디/UNIX 2023.10.08

File and Directory

파일시스템 운영체제가 디스크(파티션)상에 파일을 구성하는 방식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 다양한 형식의 파일 시스템이 존재 리눅스 전체 파일시스템을 1개의 트리구조로 관리하며 1개의 루트(/)디렉터리만 있음 파일의 종류 ( dev 하단에 있음, 일반 -, 블록 b, 문자 c, 심볼릭 l, 디렉터리 d ) 정규파일 : 데이터 저장 (텍스트,실행,이미지 등 대부분의 파일) 실행 혹은 이미지 파일은 바이너리 형태(바이너리파일) 디렉터리 : 리눅스에서 디렉터리도 파일 취급,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음 심볼릭 링크(소프트 링크) : 절대 혹은 상대경로의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링크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 장치파일 : 프린터, CD-ROM, 하드, 키보드 등 각종..

스터디/UNIX 2023.10.05